남소자/ 산부인과 전문의, 의학박사, 나산부인과의원 원장
남소자/ 산부인과 전문의, 의학박사, 나산부인과의원 원장

[서울복지신문] 세상엔 행복한 사람과 불행한 사람이 공존해 살고 있다. 불행하다고 느끼면 불행한 사람이 되고, 행복하다고 느끼면 행복한 사람의 범주에 속한다.

쥐락펴락 하는 그 무엇이 있어 행복하기보다 ‘느낌’만으로 행복과 불행의 한계를 넘나드는 경우가 우리 주변에서 수없이 목격된다.

누구나 행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불행하다고 믿으며 불행한 사람일수록 운명론을 믿기 쉽다. 그리고 불행하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난하다고 생각하는 경우이다. 고난의 현실을 헤쳐 나가겠다는 의지는 뒷전인 채 운명을 탓하며 불행의 늪에 빠져드는 것이다.

“커다란 코끼리가 조그만 말뚝에 가는 줄로 매어 있어도 꼼짝 못하는 것은 스스로 못한다고 믿기 때문”이라는 말이 있다.

불행한 사람들은 어려운 환경과 여건을 헤쳐 나가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고 지레짐작으로 “어렵다.”, “할 수 없다.”를 습관처럼 반복 한다. 아예 해보지도 않은 채 "못한다"라는 말을 연발한다. 그런가하면 잘 살고 못 사는 것은 팔자소관이고 말하는 가 하면 또한 운명이라고 믿는다. 과연 그럴까?

성공한 사람들 가운데는 몹시 어려운 환경에서도 그 자신의 슬럼프에서 박차고 나와 뚜렷한 족적을 남긴 경우가 의외로 많다. 노력하는 사람 앞에 빈곤이나 불행은 있을 수 없다는 사실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남들에 비해 부족한 환경에서 태어났다고 슬퍼할 필요가 없다. 가난은 수족(手足)의 고단함이지 결코 성공의 열쇠와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어떤 점에서 축복이라고도 할 수 있다. 가난하기 때문에 역경을 극복하는 힘이 생기고, 가난의 고통을 알기에 불굴의 의지가 생겨난다.

카네기는 부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을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가난의 경험은 그 어떤 종자 돈 보다도 귀중하면서도 돈으로는 환산할 수 없는 가치를 가진 무형의 재산이기 때문이다.

그런가 하면 루소는 가난한 집 아이와 부잣집 아이 중 누구를 가르치겠냐고 묻는 다면 “부잣집 아이를 가르치겠다”고 했다. 가난한 집 아이는 이미 인생의 많은 걸 알고 있는 반면에 부잣집 아이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스물일곱 살에 억만장자가 된 폴 마이어의 일화는 긍정의 힘이 어떠한가를 잘 보여준다. 그는 한 때 월세를 내지 못해 혹독히 추운 날 쫓겨난 적이 있었다. 아주 척박한 상황에서도 그는 이렇게 외쳤다.

“그래도 나는 부자다. 다만 이루어 지지 않았을 뿐이다.”

그가 부자로 명성을 떨치고 있을 때 어느 행색이 초라한 자동차 세일즈맨이 그를 찾아와 세일즈 방법을 물었다. 폴 마이어는 세일즈맨을 자동차 앞에서 멋있는 모습으로 사진을 찍게 했다. 그리고는 “이 사진에 있는 성공한 멋진 사람이 바로 당신!”이라고 말해 주었다. 그 후 세일즈맨은 매일 같이 이 사진을 보며 열심히 일한 결과 최고의 판매 왕이 되었다.

우리는 가능한 일을 스스로 불가능하게 만들어 버리는 수가 많다. 불가능하다고 믿고 시작하면 그 믿음 때문에 결국에 불가능해진다.

어둠이 밀려오면 촛불을 켜듯이 부정적인 생각이 밀려오면 긍정적인 생각으로 바꾸어 항상 희망적인 태도를 갖도록 하자. 비전을 품고 꿈을 그리자.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으로 그려 나가면 머지않아 그 꿈이 바로 당신 앞에 현실로 다가온다.

 

 

저작권자 © 서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