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교 빗물펌프장 현장 전경
한강교 빗물펌프장 현장 전경

[서울복지신문=장경근 기자] 서울시가 올해부터 강우량과 강우지속시간에 따른 80개 시나리오를 마련해 침수위험지역에 실제 집중호우가 발생했을 때 침수지역을 예측하고 맞춤형 선제 대응에 나선다. 또 국지성 집중호우에 긴급 대응할 수 있도록 기존 기상청 레이더와 함께 1,077개 민간 강우관측소도 활용해 사전 예측한다. 집중호우 시 하천 고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도림천, 중랑천 등 52개소에는 상황실에서 원격조종 가능한 ‘하천출입 차단시설’을 시범 운영한다.

서울시는 올 여름 집중호우, 태풍 등 풍수해에 대비하기 위한 「2018년 풍수해 안전대책」을 발표했다. 이달 15부터 10월 15일까지 5개월 간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해 이번 대책을 본격 가동한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10일 서울시청 충무기밀실에서 박원순 시장을 비롯해 민·관·군·경이 참석한 가운데 ‘2018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를 개최하고 분야별 안전대책을 점검했다.

‘2018년 풍수해 안전대책’은 △침수위험지역·집중호우·하천사고 선제적 예측·대응 △방재시설물 개선 및 확충 △수해 취약지역 및 방재시설물 점검 △사전 모의훈련 및 관계자 교육 △시민참여, 유관기관 협력 바탕 재난대응, 5개 분야의 세부대책으로 추진된다.

우선, 강우별 침수위험 예측지역에 대해 맞춤형 침수 대응체계를 가동할 수 있도록 침수대응 시스템을 개선한다. 또한, 국지성 집중호우 사전예측을 통해 긴급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기상청 레이더와 민간 강우관측소를 이용해, 강한 비구름 유입경로를 예측하고, 고밀도 수문레이더 2기를 활용해 저층의 국지성 집중호우를 관측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6월까지 K water와 MOU를 체결하고, 민간 1,077개소 강우관측소를 활용하여, 수도권지역의 고밀도 강우관측 정보를 분석, 서울로 유입되는 강우 이동경로를 추적한다. 이에 따라 위험기상 예상 시 자치구별 긴급비상 또는 추가비상을 발령하게 된다.

아울러, 집중호우로 순식간에 불어나는 하천의 물로 인해 하천에 고립되는 사고를 막고, 긴급 기상정보를 사전 안내할 수 있는 하천출입 차단시설과 자동경보시스템을 확충·개선한다.

올해 양천구 신월 지역, 용산구 한강로 등 침수취약지역 7개소의 방재설비를 완료하면 27개 지역의 침수가 해소돼 약 61,000여세대의 수해 걱정을 덜게 된다. 또한 올해도 저지대 침수취약지역에 대한 ‘침수방지시설’을 추가 지원한다. 총 예산 1,380억 원을 투입, 연장 3.6㎞의 지하대심도 저류배수시설인 ‘신월 빗물저류배수시설’을 올해 여름철부터 가동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

신월 지역 일대는 지난 2010년 9월 시간당 최대 93㎜, 일 최대강우량 302㎜의 집중호우로 6,017가구 침수와 약 62억 원의 재산피해를 입은 바 있다.

용산구 한강로 일대는, 여름철 비가 많이 내리면 신용산역 지하차도 등 용산유수지 유입 하수관로 용량 부족으로 수해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곳으로, 지난 2011년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로 지정됐다. 이에 따라 시는 국고보조금 포함 총 35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분당 1,010톤의 빗물을 처리할 수 있는 ‘한강교 빗물펌프장’을 설치해 서울시 방재성능 목표인 30년 빈도(시간당 95㎜) 강우에 대처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올해 시흥 사거리 일대, 강서구청 사거리, 내방역 사거리, 암사역 일대도 방재시설이 완료돼 침수가 해소된다.

그 밖에 나머지 침수 우려지역에 대해서도 지역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수방 대책을 지속 추진한다.

침수에 취약한 저지대 지하주택의 침수방지를 위해 물막이 판, 역류방지시설 등 ‘침수방지시설’ 설치를 올해도 이어간다. 우기 전까지 6,300여 가구에 추가 보급하면 전체 73,000여 가구가 침수방지시설을 갖추게 된다.

과거 설치한 침수방지시설의 성능 유지를 위해서는 이물질 청소와 변형 유무 등 정기적인 확인과 유지관리가 매우 중요하므로 통반장·돌봄공무원 등을 활용해 점검 및 관리요령도 안내했다.

시는 본격적인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에 앞서, 수해 취약지역 및 방재시설물 현장점검을 시행했고, 하천과 하수관로를 준설했다. 또한, 주택가 옹벽, 건축공사장 등 재난 취약시설에 대해서도 점검·정비를 완료했다.

특히, 외부 전문가, 시·구 관계 공무원, 지역주민 및 대학생 등으로 이뤄진 점검반이 수해 취약 지역과 방재시설물 30개소를 꼼꼼히 둘러보고, 안전조치를 취했다.

하천내 공사장의 경우 우기 전까지 유수 장애물 제거 및 사면 보강, 배수로 정비 등 수방기간 동안 지속적인 점검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재난대처능력을 높이기 위해 안전한국훈련과 모의훈련, 관계자 역량강화 교육으로 풍수해에 대한 현장 대응 능력과 협업체계를 강화했다.

먼저 5월 8일부터 18일까지 침수취약지역 재난대응 및 하천 주차장 내 차량 대피 훈련인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해 재난현장 협업기능 숙달과 시·자치구, 유관기관, 민간단체 협업체계를 강화해간다는 계획이다. 또, 비상상황 발생 시 실제와 같이 대응할 수 있도록 모의훈련을 실시 중에 있으며, SNS를 활용한 시·자치구, 도로사업소 등 유관기관 수방요원 약 260명이 매뉴얼을 숙지해 상호 협업하는 메시지 훈련도 5월, 7월, 9월 3회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풍수해 업무 담당자 역량 강화를 위해 방재기상 교육과 행동 매뉴얼 교육 등을 실시했고, 인터넷을 활용한 ‘e-풍수해 재난관리’ 교육을 운영해 상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서울시는 재난 피해를 줄이는 데는 무엇보다 시민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만큼,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시민 참여를 바탕으로 신속하게 재난대응을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25개 자치구와 사업소, 공사, 공단 및 유관기관 등과 상시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성격에 따라 산사태, 제방붕괴 등 특정지역 대규모 재난발생시 ‘현장지휘소’를 가동해 현장에서 모든 대응·복구 관련 지휘가 이뤄지도록 한다.

현장기동반은 시, 자치구, 동 주민센터 공무원으로 구성해 재난발생 초기 현장상황 파악과 실시간 상황보고 등 현장지원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특히, 시는 용역사, 대형건설사, 전문건설협회와 연계한 협업체계를 마련해 침수초기 민간 용역사를 현장에 투입해 피해원인 분석 및 대책을 수립해 재난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사태 현장예방단은 서울시 1개단, 자치구 21개단, 88명으로 구성해 산사태 취약지역 순찰, 점검 및 응급조치 등을 실시하게 된다.

아울러 서울시 각 소방서별 긴급구조통제단을 가동해 풍수해 재난발생 시 인명구조, 침수지역 배수지원 등 초동대처를 하게 된다. 의용소방대도 취약지역 순찰과 가스 등 위험시설물 안전점검을 실시해 재난예방 및 대비 등을 지원한다.

이외에도 이재민 발생 시를 대비해 임시주거시설 지정과 구호물자도 준비 완료하는 한편, 의료·방역, 재난피해자 심리상담 등도 시행한다.

박원순 시장은 “풍수해 안전 위협요인에 철저히 대비해 시민 피해와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특히 풍수해 대비에는 무엇보다 시민의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한 만큼, 기상특보 발령 시 내 집 앞 빗물받이에 덮개가 있을 경우 이를 제거하고, ‘침수방지시설’이 설치된 가구는 물막이 판, 펌프를 수시로 점검하는 등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서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