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균화/ 주필, 명예회장, 교수
정균화/ 주필, 명예회장, 교수

[서울복지신문] “세상에는 두 성향을 모두 가졌지만 어느 한쪽이 더 지배적이지 않은 ‘양향성격자(앰비버트ㆍAmbivert)’들이 있다. 그들은 더 균형 잡히고 개성적인 성격을 가졌으며 사회적, 정서적 유연성을 겸비하고 있다. 쉽게 말해 세상은 은둔자와 파티 광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세상에 완전한 내향성 또는 외향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 사람은 정신병원에서나 볼 수 있다!”심리학자 카를 융의 말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을 파티장이라고 가정해보자. 내향적인 사람들은 벽에 기대어 가만히 서 있고, 외향적인 사람들은 무대 중앙을 거침없이 돌아다니는 모습이 연상될 것이다. 하지만 인생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으며 흑백논리로 구분 지을 수 없다. 스스로 어떤 유형에 속한다고 생각하거나 그런 유형으로 여겨져 왔다고 해도 개의치 말자. 우리는 자신이 가진 고유한 기질이 지닌 특성을 더 깊게 이해해야 한다. 이제 더 이상 우리를 함부로 규정하려는 것들에 휘둘리지 말자고 인간 심리 연구에 일생을 바친 미국의 저명한 심리학자가 ‘혼자 있고 싶은데 외로운 건 싫어, 저자 피터 홀린스’에서 알려준다.

전 세계 수천 명의 사람들을 상담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성격 스펙트럼이 얼마나 넓고 복잡한지를 밝혀내 심리학계의 주목을 받은 그는 사람의 성격이 겉으로 드러난 모습과 일치하지 않는 이유와 자기 자신도 이해하기 어려운 감정과 행동, 그 이면에 숨겨진 의도와 욕망에 대해 이야기했다. 수십 년에 걸친 인간 성격 유형에 관한 연구를 토대로 우리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작용들을 더 깊게 바라봄으로써 타인의 잣대에서 벗어나 더 단단해지고 자유로워지는 법을 알려주는 저자는 사람의 마음은 우리가 아는 것보다 더 다면적이고 입체적이라고… 햇살 같은 외면과 칠흑 같은 내면이 공존하는 게 사람이지만 여전히 사회는 외향성과 내향성, 남성성과 여성성 같은 이분법으로 우리를 구분 짓고 불편한 기대들을 강요한다.

아이젱크는 레몬즙 실험을 고안해냈다. 레몬즙을 혀에 떨어뜨렸을 때, 망상활성계가 더 민감하고 활동량이 큰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침이 더 많이 생길 거라고 가정했다. 다시 말해 침이 더 많이 생기는 사람이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과 각성 정도가 높은 내향적인 사람일 확률이 크다는 것이다. 과연 결과는 어땠을까? 실제로 내향적인 사람이 외향적인 사람보다 침 분비가 50퍼센트 더 많았다. 레몬즙처럼 작은 액체 방울이 엄청난 반응 차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각성 기준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당신도 ‘타인의 시선’이 부담스럽나요? 사람과 만남과 관계가 힘들기만 한 당신에게 ‘혼자일 땐 외로운, 함께 일 땐 불안한, 저자 이인’에서 알려준다.

얼마 전 한 취업사이트에서 2040세대 대학생과 직장인 800여명을 대상으로 ‘미래 불안 요인’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를 했다. 흥미로운 것은 다른 불안 요소들이 거의 경제적 이유에 기인하는데 비해, ‘결혼이혼’ 문제와 관련해 가장 걱정되는 요인으로는 ‘주변 시선(27.4%)’을 가장 많이 꼽았다는 점이다. ‘외로움’이 걱정된다는 답변도 13.9%나 됐다. 이 설문 결과를 보면, 우리는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를 선택할 때조차 다른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해 행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개인은 좋든 싫든 타인의 평가와 평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래서 늘 사람 때문에 힘들지만, 한편으로는 사람에게만 위안 받을 수 있는 것도 인간이다. 그렇다. 그래서 인간은 외로움을 안고 살아가는 가보다. “고독한 외로움은 인간의 마음을 눈뜨게 해준다.”<마에다 유구레>

 

 

저작권자 © 서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